운영체제(OS; Operating System) 개념
사용자가 컴퓨터 하드웨어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 제공해 주는 소프트웨어
운영 체제의 특징
사용자 편리성 제공 | 한정된 시스템 자원 효과적 사용하도록 관리/운영 |
---|---|
인터페이스 기능 담당 | 컴퓨터 시스템과 사용자 연결 |
스케줄링 담당 | 다중 사용자-응용 프로그램 환경 하에서 자원의 현재 상태 파악, 자원 분배 위한 스케줄링 담당 |
자원 관리 | CPU, 메모리 공간, 기억 장치, 입출력 장치 등의 자원 관리 |
제어 기능 | 입출력 장치와 사용자 프로그램 제어 |
커널
운영체제의 핵심이 되는 기능들이 모여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
| 프로세스 관리 | - 프로세스 스케줄링 및 동기화 관리 담당
윈도즈(Windows)
MS-DOS 멀티 태스킹+GUI 환경 제공하는 마이크로 소프트사가 개발한 운영 체제
지선자 오
GUI(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) 제공 | 키보드없이 마우스로 아이콘이나 메뉴 선택하여 작업 수행하는 그래픽 기반 인터페이스 방식 |
---|---|
선점형 멀티태스킹 방식 제공 | 동시에 여러 개 프로그램 실행하며 운영체제가 각 작업의 CPU 이용 시간 제어 |
자동 감지 기능 제공 | 하드웨어 설치 시 필요한 시스템 환경을 운영체제가 자동으로 구성해주는 자동감지 기능 제공 |
OLE(Object Linking and Embedding) 사용 | 개체를 현재 작성중인 문서에 자유롭게 연결 또는 삽입하여 편집할 수 있게 하는 기능 제공 |
유닉스(Unix) [2020 4회 기출]
데니스 리치, 켄 톰슨 등이 함께 벨 연구소 통해 만든, 90% 이상 C 언어로 구현되어 있고 범용 다중 사용자 방식의 시분할 운영체제
대작사이계
대화식 운영 체제 기능 제공 | 프롬프트가 나타난 상태에서 사용자 명령 입력 시 시스템은 그 명령을 수행하는 사용자 명령 기반의 대화식 운영체제 기능 제공 |
---|---|
다중 작업 기능 제공 | 다수의 작업이 중앙처리 장치와 같은 공용자원 나누어 사용하여 한번에 하나 이상의 작업 수행하는 기능 제공 |
다중 사용자 기능 제공 | 여러 대의 단말이 하나의 컴퓨터에 연결되어 여러 사람이 동시에 시스템을 사용하여 각각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제공 |
이식성 제공 | 90%이상 C 언어로 구현되어 있고, 시스템 프로그램이 모듈화되어 있어 다른 하드웨어 기종으로 쉽게 이식 가능 |
계층적 트리 구조 파일 시스템 제공 | 유닉스는 계층적 트리 구조 가짐으로써 통합적 파일 관리 용이 |
유닉스 종류 [2020 2회 기출]
리눅스(Linux) | 유닉스를 기반으로 소스코드 공개된 오픈 소스 기반 운영체제 |
---|---|
맥(Mac) | 애플이 유닉스 기반으로 개발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 운영체제 |
안드로이드(Android) | 휴대용 장치 위한 운영 체제와 미들웨어, 사용자 인터페이스, 표준 응용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있는 운영 체제 |
운영체제 제어 방법
CLI(Command Line Interface) | 사용자가 직접 명령어 입력, 명령 내리는 방식 |
---|---|
GUI(Graphic User Interface) | 마우스로 화면 클릭해 그래픽 위주로 컴퓨터 제어하는 방식 |
윈도즈 기본 명령어
ATTRIB | 파일 속성을 표시하거나 바꿈 |
---|---|
CALL | 한 일괄 프로그램에서 다른 일괄 프로그램 호출 |
CD | 현재 디렉터리 이름 보여주거나 바꿈 |
CHKDSK | 디스크 검사하고 상태 보고서 표시 |
CLS | 화면 지움 |
CMD | WINDOWS 명령 프롬프트 창 열어줌 |
COMP | 두 개 이상의 파일 비교 |
DISKPART | 디스크 파티션 속성 표시하거나 구성 |
ECHO | 메시지 표시하거나 ECHO 사용/사용하지 않음 |
ERASE | 하나 이상의 파일 지움 |
EXIT | CMD.EXE 프로그램 마침 |
리눅스/유닉스 기본 명령어
cat | 파일 내용 화면에 출력 |
---|---|
last | 시스템 부팅-현재까지 모든 사용자의 로그인/아웃 정보 표시 |
who | 현재 접속 사용자 정보 |
pwd | 현재 작업중인 디렉토리의 절대 경로 출력 |
ps | 현재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 목록 출력 |
kill | 특정 PID 프로세스 종료 명령어 |
chmod | 특정 파일 또는 디렉토리의 퍼미션 수정 명령어 |
chown | 파일이나 디렉토리 소유자, 소유 그룹 수정 명령어 |
host | 도메인 명은 아는데 ip 주소 모르거나 반대의 경우에 사용하는 명령어 |
grep | 입력으로 전달된 파일의 내용에서 특정 문자열 찾고자 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 |
find | 특정한 파일 찾는 명령어 |
du | 파일 사이즈를 킬로 바이트 단위로 보여주는 명령어 |
fork | 시스템 콜 중 새로운 프로세스 생성, 복제 |
rm | 파일 삭제 명령어 |
cp | 파일 복사 명령어 |
mv | 파일 이동 명령어 |
ls | 자신이 속한 폴더 내의 파일 및 폴더들을 표시하는 명령어 |
리눅스/유닉스 파일 접근 제어 매커니즘 [2020 2회 기출]
접근 권한 유형(설정 명령어: chown, chgrp)
User | 파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(Owner) |
---|---|
Group | 소유자 제외하고 파일과 같은 그룹에 속해있는 모든 사용자 모임 |
Other | 그 밖의 사용자 |
파일 접근 모드(설정 명령어: chmod)
| --- | --- |
chmod o-w yoom.c
chmod 664 yoom.c