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W 개발 단계별 인터페이스 산출물
분석 단계 | 인터페이스 정의서 |
---|---|
명세 단계 | 인터페이스 명세서 |
설계 단계 | 인터페이스 설계서 |
시스템 인터페이스 설계서 | |
상세 기능별 인터페이스 명세서 |
시스템 인터페이스 설계서
시스템 인터페이스 정의서
각 인터페이스 번호당 인터페이스가 되는 데이터, 데이터 형식, 송수신 시스템의 정보 등을 구체화하는 문서
상세 기능 인터페이스 명세서
상세 기능에 대한 내/외부 모듈의 기능 확인이 가능하고, 오퍼레이션 및 사전 조건을 통해 상세 기능의 외부 모듈을 확인이 가능한 문서
상세 기능 인터페이스 명세서 세부 내용
아명오개 전후파반 인터페이스 아이디/인터페이스명/오퍼레이션명/
오퍼레이션 개요/사전 조건/사후 조건/파라미터/반환 값
인터페이스 ID | 인터페이스 구분 식별자(업무 분류 코드+연속 번호) |
---|---|
인터페이스 명 | 해당 인터페이스 나타내는 고유 명칭 |
오퍼레이션 명 | 해당 인터페이스 세부 동작 명칭 |
오퍼레이션 개요 | 해당 인터페이스 세부 동작 프로세스에 대한 세부 설명 |
사전 조건 | 해당 인터페이스 세부 동작이 정상적으로 작동위해 사전 완료되야 하는 조건 기술 |
사후 조건 | 해당 인터페이스 세부 동작 정상적 작동 이후 발생되는 조건 기술 |
파라미터 | 인터페이스 구성 항목 값 |
반환 값 | 인터페이스 전송 후 반환 값 |
EAI(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) 개념
기업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(이 기종) 간의 정보 전달, 연계, 통합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
EAI 구축 유형
포허메하 포인트 투 포인트/허브 앤 스포크/메시지 버스/하이브리드
Point to point | 중간에 미들웨어 없이 각각 애플리케이션 간 점대점 형태로 연결 |
---|---|
Hub&Spoke | 단일한 접점의 허브 시스템 통해 데이터 전송하는 중앙 집중식 방식 |
Message Bus | 애플리케이션 사이 미들웨어(버스) 두어 연계하는 미들웨어 통합 방식 |
Hybrid | 그룹 내는 허브 앤 스포크, 그룹 간은 메시지 버스 방식 사용하는 통합 방식 |
ESB(Enterprise Service Bus) 개념
기업에서 운영되는 이 기종들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관리, 운영할 수 있도록 서비스 중심의 느슨한 통합을 지향하는 기술